awake 어웨이크 - Park Se-ni 박세니
Reading is the best means of producing goods.
Park Se-ni said, "Reading is the best means of producing goods."
While reading is the most important daily routine these days, it feels like the quality of reading has been falling.
At first, I keep my promise to read and write for two hours a day, but my concentration is falling a lot.
I want to regain my best immersion and concentration.
The reading method presented by Park Se-ni is so beneficial that I transfer it here.
1. Read the easiest book with a relaxed mind
If you start with a difficult book, you will be discouraged.
Also, difficult books may have been written by the author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 content. Therefore, you should be careful of books that have not been verified.
Search the library for areas of interest and find the most basic and easy books first.
2. Read a book that contains the know-how of the best person in the field.
You should read a book that contains skills that are good at work and know-how in practice.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great work of the authors allows me to do the work.
Consider yourself lucky to have met such a book.
The best in a field is different from the average level of people below it. Even the gap between first and second place is often too large.
A person who knows the essence of his or her profession has the excellence of being able to use it in all directions with knowledge in the same field.
3. Look at several books in the same field at the same time
Take a look at four to five famous books in the field together.
Just as everyone is not perfect, books are not perfect.
Absorb the clearly explained parts of each book into mine.
Then, improved knowledge can be efficiently delivered to others.
4. There is no need to memorize. Always accept and understand what you learn through a clear essential frame.
If the frame of thought is well established, output will be easier. This makes reading fun and easy.
The more I read, the more flesh and muscles I feel stuck in my frame.
The world is rich in content
If you don't have enough of your own content or if it's hard to find,
This means that there is no firm subjectivity in the frame of looking at life, looking at people, and looking at the world.
If you interpret the world with a proper frame, you will find that all the phenomena in the world are in the frame.
So when you talk and persuade people, you convey the reinterpreted story based on that clear frame.
5. Read several books at once
When reading a book, for example, it is not good to read for 10 minutes a day.
When I read a book in a lukewarm state for a long time, I was like, "What am I doing?"I feel like
The person who reads properly reading,
This means that from the process of input, you should first read with a sense of purpose to convey it to others.
Therefore, when you read a book first, you should be fully absorbed.
A person needs repetition to fully internalize after acquiring certain information.
In reality, a good way must be seen at once and must develop a practice of explaining to others.
Reading for three to six months like this gives me confidence in the field.
6. Always sit in the right position and read a book.
You have to consciously think about the reason why you read a book.
The body and mind are connected.
You should look at the book written by the best master with a respectful attitude.
7. Integrate your body with the book.
Underline the book, fold it, take notes, rewrite it in simple words if necessary (with the ability to deliver it to others), and identify it with your body without lending it to others.
8. Read whenever you have time.
Time is to stay until we die. And because we are always doing something in time, people who can't read books because they don't have time always do other things in time than reading books.
Reading is the art of creating goods.
9. Don't read fantasy novels or martial arts novels.
It's fun, but it takes too much time.
Put off your hobby books for a while and first read practical books that will help you achieve sufficient economic growth.
And your real life should be more interesting than this kind of novel.
10. Drop by a large bookstore often.
Internet bookstores support books that can be sold.
Take a look at the books of your own interest. And if you buy a book written by a hidden master and read it, it is differentiated from ordinary people.
This habit is a good habit to increase your luck on your own.
11. Always stick to the right frame and read it awake.
Life is determined by the frame he internalizes.
If you want to live a wonderful life,
There should be no errors in the frame
The frame itself should be the correct one.
The frame of life that Park Se-ni lives with is
"Life is a process of creating a high degree of concentration and immersion better in my field."
When you read, you have to read with a firm frame to start gaining weight on the frame.
The more I read the book, the stronger I feel and more certain.
박세니는 "독서는 재화를 산출해내는 최고의 수단"이라고 했다.
요근래 독서를 가장 중요한 하루의 일과로 삼는 중에, 자꾸만 독서의 질이 떨어지는 느낌이다.
처음에 하루에 두 시간은 읽고 쓰겠다는 다짐을 계속 지키고 있기는 하지만, 집중력이 많이 떨어지고 있다.
최고의 몰입과 집중 상태를 다시 되찾고 싶다.
박세니가 제시하는 독서방법이 너무나 유익하여 여기에 옮겨둔다.
1.편안한 마음으로 가장 쉬운 책부터 읽어라
어려운 책으로 시작하면 의지가 꺾인다.
또한 어려운 책은 저자가 충분히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썼을 수도 있다. 그래서 검증이 되지 않은 책도 주의해야 한다.
도서관에서 관심분야를 검색해서 가장 기본적이고 쉬운 책부터 찾으라.
2. 해당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자의 노하우를 담은 책을 읽어라.
일을 잘하는 기술, 실전 노하우를 담은 책을 읽어야 한다.
저자들의 대단한 업적을 분석하고 이해하면 나도 그 일을 할 수 있다.
이런 책을 만난 것을 행운이라고 생각하라.
한 분야의 최고는 그 아래 평범한 수준의 사람들과 다르다. 심지어 1등하고 2등의 간격도 너무 큰 경우가 많다.
자신의 업에 본질을 꿰뚫고 있는 사람은 같은 분야의 지식을 가지고 그것을 전방위로 활용할 수 있는 탁월성이 있다.
3. 동시에 같은 분야의 책을 여러 권 보라
해당분야의 유명한 책 4-5권을 같이 보라.
모든 사람이 완벽하지 않듯, 책도 완벽하지 않다.
각 책마다 명쾌하게 설명된 부분을 나의 것으로 흡수시켜라.
그러면 개선된 지식을 남들에게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4. 암기할 필요 없다. 항상 배우는 내용을 명확한 본질적 프레임을 통해서 받아들여서 이해하라.
관주위보 -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관주위보의 능력을 키워야 한다. 외우기보다 이해하라.
생각의 프레임(뼈대)가 잘 갖춰지면 아웃풋도 쉬워진다. 이러면 독서가 재미있고 쉽게 느껴진다.
독서를 할수록 살과 근육들이 제대로 붙는 느낌이 든다.
세상에는 콘텐츠가 풍부하지만,
나만의 콘텐츠가 풍부하지 않거나 찾는 것이 어렵다면,
삶을 바라보는 프레임이나 사람을 바라보는 프레임,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 등에 대한 확고부동한 주관이 없다는 뜻이다.
제대로 된 프레임으로 세상을 해석하다 보면 세상 모든 현상들이 모두 프레임 속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고 설득할 때에도 그 명확한 프레임을 바탕으로 재해석된 이야기를 전달하게 된다.
5. 짧은 기간에 몰아서 봐라
책을 볼 때 가령 하루 10분만 독서하는 것은 좋지 않다.
미적지근한 상태로 오랫동안 책을 보다보면 "뭐 하려고 이러고 있지?"하는 생각이 든다.
독서를 제대로 하는 사람은,
인풋의 과정에서부터 그것을 남에게 전달하려는 목적의식을 먼저 갖춘 채로 독서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본인이 먼저 책을 볼 때 충분히 심취 상태가 되어야 한다.
사람은 어떤 정보를 습득한 후에 완전히 내면화하려면 반복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좋은 방법은 몰아서 보고 반드시 남에게 설명하는 실전을 키워야 한다.
이렇게 3-6개월 정도 독서를 하면 그 분야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다.
6. 책은 반드시 바른 자세로 앉아서 본다.
책을 보는 이유를 의식적으로 생각하면서 봐야 한다.
몸과 마음은 연결되어 있다.
최고의 대가가 쓴 책에 대해 존경의 마음을 담은 자세로 봐야 한다.
7. 책과 몸을 일체화한다.
밑줄긋고, 접고, 메모하고, 필요하면 쉬운말로 다시 써보고(남에게 전달해줄 요량으로), 남에게 빌려주지 않고 제 몸과 동일시하라.
8. 틈나는 대로 읽어라.
시간은 우리가 죽을 때까지 계속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항상 시간 속에서 반드시 어떤 일을 하고 있기에, 시간이 없다는 사람들도 책 읽는 거 말고 다른 일을 항상 시간 속에서 한다.
독서는 재화 창출의 기술이다.
9. 판타지 소설, 무협 소설 보지 마라.
재미있지만 시간을 너무 소모한다.
취미거리의 책은 잠시 미루고 먼저 경제적으로 충분한 성장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만한 실용서부터 읽어라.
그리고 이런 류의 소설보다 당신의 실제 삶이 더 재미있어야 한다.
10. 대형 서점에 자주 들러라.
인터넷 서점에서는 팔릴만한 책을 밀어준다.
직접 관심 분야의 책들을 들추어보라. 그리고 만약 숨은 고수가 쓴 책을 사서 읽는다면 일반 사람들과 차별화가 된 것이다.
이런 습관은 스스로 운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습관이다.
11. 언제나 올바른 프레임을 견지하고 깨어나 있는 상태로 읽어라.
인생은 그가 내면화한 프레임으로 결정난다.
인생을 멋지게 살아가려면,
그 프레임에 오류가 없어야 하고,
프레임 자체가 올바른 것이어야 한다.
박세니가 확고부동하게 갖고 사는 인생 프레임은,
"인생은 고도의 집중과 몰입 상태를 내 분야에서 더 멋있게 잘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이다.
독서할 때 확고한 프레임을 가지고 읽어야만 프레임에 살이 붙기 시작한다.
책을 읽을 수록 강해지는 느낌과 확신이 든다.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1
Lee O-young was a South Korean critic and novelist. Although the romanized spelling of the hangul name "이어령" might be Yi O-ryŏng or Lee Eo-ryeong, Lee O-young is the author's preferred romanizat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6월 21일 읽기 시작
이어령은 대한민국의 인문학자, 작가, 강연자이다. 강한 지적 호기심과 열망으로 많은 저술과 제자를 낳았다. 본 책 ‘마지막 수업’은 기자인 김지수가 매주 화요일마다 이어령을 만나나 인터뷰한 것을 기록한 책이다. 이어령은 1934년생으로 현재 암투병중이며, 사실상 시한부 선고를 받고 죽음에 이르는 길을 지켜보고 있다.
시대의 지성이라고 할 수 있는 이어령은 이제 죽음을 앞두고 그 죽음에 대해 끝이 아니라 새로운 탄생이라고 역설하고 있다. 이에 앞서 비어있는 컵을 보고 컵은 우리의 육체, 거기에 담아 있는 액체는 우리의 마음, 그리고 비어있는 공간에서 외부로 뻗어가는 보이지 않는 공간을 우리의 영혼이라고 이야기했다. 왜 컵에 들어있는 액체가 우리의 마음이냐 하면, 그 컵에 무엇이든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우리의 마음이 기쁨을 느끼다가 갑자기 분노에 사로잡히기도 하고 때로는 평온하기도 한데, 우리는 한편 컵에 와인을 담을 수도, 물을 담을 수도, 기름을 담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의 몸 안에 있는 암은 이곳 저곳 전이되어서 이제는 수술을 한다는 것은 삶을 조금 더 연장하는 의미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죽음은 끝이 아니고 탄생이라고 할 수 있기에 죽어가는 자신을 좀 더 관찰하면서 시간을 보내겠다고 한다.
구글로 그의 이름을 검색을 하니 그는 지난 2월에 돌아가셨다. 당신의 명복을 빈다.
June 21st Reading Starts
Lee is a South Korean humanities scholar, writer, and lecturer. Strong intellectual curiosity and aspiration gave birth to many writings and disciples. This book, "The Last Class," is a book that records reporter Kim Ji-soo's interview with Lee Eo-ryeong every Tuesday. Lee o-young was born in 1934, and is currently fighting cancer, and is virtually sentenced to a time limit and is watching the way to death.
Lee o-young, the intellect of the times, now emphasizes that the death is not the end, but a new birth. Earlier, looking at the empty cup, the cup said that our body, the liquid in it, was our mind, and the invisible space extending from the empty space to the outside was our soul. The reason why the liquid in the cup is our heart is because we can put anything in the cup. It's as if our hearts are suddenly gripped by anger and sometimes calm, because we can put wine, water, or oil in a cup.
The cancer in his body has spread from place to place, and now he says surgery only means extending his life a little more. He said he would spend more time observing himself dying because death is not the end but the birth.
p.s I just Googled his name and he died last February. I pray for your repose.
부자의 그릇 the vessel of the rich - 이즈미 마사토
이 글은 사업에 실패한 은행원 출신 남자의 이야기이다.
우연히 노인을 만나서 자신의 실패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업 아이템을 발견하고 친구와 동업을 하게 된다.
요식업이 진입장벽이 낮다는 것에 착안하여 주먹밥 가게를 열게 된다.
이 글은 사업에 실패한 은행원 출신 남자의 이야기이다.
우연히 노인을 만나서 자신의 실패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업 아이템을 발견하고 친구와 동업을 하게 된다.
요식업이 진입장벽이 낮다는 것에 착안하여 주먹밥 가게를 열게 된다.
비슷비슷한 주먹밥이지만, 특별한 레시피를 만들어내어 히트 상품을 만들게 된다.
프렌차이즈를 만들면서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
히트한 주먹밥을 편의점에서 런칭하기를 제안하여 수락한다.
편의점 업체는 가격 결정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원래 주인공 가게에서 팔던 주먹밥 가격보다 낮게 팔게 된다.
당연히 히트 상품이던 주먹밥은 잘 팔리지 않게 된다.
친구는 사업 파트너이지만 실질적 경영은 주인공이 하는 바람에 둘 사이에 분열이 생긴다.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주인공은 3억원의 빚을 떠안게 되고, 아내가 떠났다.
또 다른 이야기의 축은 노인의 돈에 대한 충고이다. 사업을 하면서 돈을 쓰면 없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돈을 담아내는 나의 그릇은 넓어질 수 없다. 애초에 빚 없이 사업을 시작한 주인공은 돈을 담아내는 자신의 그릇은 생각하지 않고 무리하게 프렌차이즈를 확장시켰다. 하지만 노인의 말에 의하면 돈은 그 사람이 하루하루 살아오면서 만들어낸 신용이다. 써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융통의 수단이 된다. 신용이 높으면 융통의 여지가 많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