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발음 The differences between modern Chinese pronunciation and Korean Sino-Korean wor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words and their Korean-adapted versions comes from historical and linguistic changes. Here are the main reasons:

1. Changes in Chinese Pronunciation

Chinese has undergone significant phonetic changes over time. When Korea adopted Chinese characters (mainly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e pronunciation was different from modern Mandarin. For example, the character is pronounced xué in modern Mandarin but hak in Korean, reflecting an older Chinese pronunciation.

(From Naver Dictionary)

2. Preservation of Older Chinese Pronunciation in Korean

Korean Sino-Korean words (words of Chinese origin) were based on ancient Chinese pronunciation, particularly from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hile Chinese pronunciation evolved significantly, Korean retained a more conservative version.

For example:

  • "國" (nation)

    • Korean: guk

    • Chinese: guó

  • "學" (learning, school)

    • Korean: hak

    • Chinese: xué

Since Chinese pronunciation has changed over centuries due to phonetic shifts and tonal developments, it now sounds quite different from the Korean-adapted versions.

(From Namu.wiki)

3. Differences in Phonetic Systems

Korean and Chinese have different phonetic systems, leading to pronunciation adjustments:

  • Korean has no tones, whereas Chinese relies heavily on tones.

  • Korean prefers voiceless consonants (ㄱ, ㄷ, ㅂ) at the beginning of words, while Chinese often uses voiced consonants (g, d, b).

  • Chinese words rarely end in consonants, while Korean often adds final consonants (받침) like ㄱ, ㄴ, ㅁ, ㅂ.

For example, "發" (to develop)

  • Korean: bal

  • Chinese:

4. Adaptation to Korean Phonetic Rules

Over time, Chinese-origin words were adjusted to fit Korean phonetic rules. Much like how loanwords are adapted into different languages, Sino-Korean words were modified to match Korean pronunciation patterns.

For example:

  • "電話" (telephone) → diànhuà → not "dienhwa" but "전화" (jeonhwa)

  • "學校" (school) → xuéxiào → not "hakyo" but "학교" (hakgyo)

5. Influence of Japanese Pronunc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me Sino-Korean pronunciations were influenced by Japanese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lthough this influence is relatively minor, it has contributed to certain pronunciation variations.

Conclusion

The differences between modern Chinese pronunciation and Korean Sino-Korean words arise from:

  1. Changes in Chinese pronunciation over time

  2. Korea preserving older Chinese phonetics

  3. Differences in phonetic structures

  4. Adaptation to Korean pronunciation rules

  5. Some influence from Japanese pronunciation

This is why Chinese-origin words sound so different in modern Chinese and Korean today!

중국어에서 유래한 단어(한자어)가 한국어에서 발음이 다르게 변한 이유는 역사적, 언어적 변화 때문이에요. 몇 가지 주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어의 변화

중국어 자체가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를 거쳤어요. 한국이 한자어를 받아들일 때(주로 당나라~송나라 시기) 사용되던 중국어 발음(중고음, 고대 중국어)과 현대 표준 중국어(보통화) 발음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현대 중국어에서 "學(xué)"은 "쉐"에 가깝지만, 한국어에서는 "학"으로 남아 있어요.

2. 한국 한자음의 보존

한국어에서 쓰이는 한자어 발음은 송나라 이전 중국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현재 중국어 발음과 차이가 생겼어요. 한국에서는 한자어를 비교적 보수적으로 유지했지만, 중국에서는 성조 체계와 발음이 크게 변화했어요.

예를 들어,

  • "國" (나라 국)

    • 한국어: 국 (guk)

    • 중국어: 国 (guó)

  • "學" (배울 학)

    • 한국어: 학 (hak)

    • 중국어: 学 (xué)

중국어는 음절의 변화와 성조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한국어는 고대 중국 발음을 기반으로 그대로 유지한 편입니다.

3. 음운 체계 차이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발음이 변형될 수밖에 없어요.

  • 한국어에는 성조(聲調)가 없어서 중국어의 성조가 사라짐.

  • 한국어에는 어두(단어의 첫소리)에 무성 파열음(ㄱ, ㄷ, ㅂ)이 많은 반면, 중국어에는 유성음(g, d, b)이 많음.

  • 중국어에는 받침이 거의 없지만, 한국어는 받침(받침소리)이 많아 한자어의 끝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같은 자음으로 고정됨.

예를 들어, "發" (필 발)

  • 한국어: 발 (bal)

  • 중국어: 发 (fā)

처럼 변화했어요.

4. 차용 후 한국어식 변화

한자어가 한국어에서 사용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음운 구조에 맞게 변형되었어요. 특히, 외래어를 한국어화할 때처럼 발음이 한국어의 법칙에 따라 조정되었죠.

예를 들어,

  • "電話" (전화) → diànhuà → 전화(X) → 전화(O)

  • "學校" (학교) → xuéxiào → 학효(X) → 학교(O)

이처럼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조정되면서 발음 차이가 발생했어요.

5. 일본어 한자음과의 영향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식 한자음의 영향도 일부 받았어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 한자음을 변형해서 사용한 것이 한국어 한자음에도 영향을 미친 경우가 있습니다.

결론

중국어와 한국어의 한자 발음 차이는

  1. 중국어 자체의 발음 변화

  2. 한국 한자음이 옛 중국어를 보존한 점

  3. 두 언어의 음운 체계 차이

  4. 한국어식 조정

  5. 일본어 한자음의 영향

등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에요.

그래서 현대 중국어 발음과 한국어 한자어 발음이 다르게 들리는 것이죠!

Next
Next

칠석(Chilseok-Seventh Evening)